전자책 출간, 어디에 올릴까? 국내 전자책 플랫폼 완전 비교
전자책 어디 하고 출간 해야 하나?
안녕하세요. 생활 속 도움의 블로거 우공 모부세입니다.
여러분 전자책을 출간하기로 마음을 먹고 원고를 썼는데 어디에서 출간을 해야하는지? 알고 계신가요?
전자책 출간을 준비할 때, 많은 사람들이 가장 먼저 고민하는 것은 "무엇을 쓸까"입니다. 하지만 콘텐츠가 완성된 이후엔 반드시 마주하게 되는 현실적인 질문이 있습니다. 바로, "어디에 출간할 것인가?"입니다. 되도록이면 많은 사람들이 나의 책을 읽고 좋아 해주었으면 좋겠는데 플랫폼이 제대로된 역활을 못한 다면 속상할 것입니다.
단순히 전자책을 등록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 책이 실제로 독자에게 도달하고, 수익이 발생하며, 작가로서의 브랜딩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출간 플랫폼 선택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은 지난 번 전자책 출간의 전반적인 글에 이어서 국내 전자책 출간 플랫폼 중심으로, 그 특징과 EPUB/PDF 포맷 차이까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EPUB vs PDF, 전자책 포맷 먼저 이해하자
전자책을 출간할 때 가장 먼저 선택해야 할 것이 바로 포맷입니다. 일반적으로는 EPUB과 PDF 두 가지가 주로 사용됩니다.
구분EPUBPDF
포맷 유형 | 전자책 전용 포맷 | 고정형 문서 포맷 |
특징 | 글자 크기 조절 가능, 기기별 맞춤 보기 | 레이아웃 고정, 디자인 일치 유지 |
장점 | e리더기, 모바일에서 최적화된 독서 경험 | 시각적 완성도 높음, 출력 용이 |
단점 | 복잡한 제작 과정, 디자인 제약 | 작은 화면에서 가독성 낮음 |
대표 플랫폼 | 리디, 교보문고, YES24 | 크몽, 탈잉, 브런치북 PDF 업로드 등 |
정리하자면, 리디나 교보처럼 전통적 eBook 플랫폼은 대부분 EPUB을 요구하며, 템플릿·강의자료·실용서 형태로 직접 판매하는 콘텐츠는 PDF로 출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내 주요 전자책 출간 플랫폼 5곳 비교
① 리디페이퍼스 (RIDI Papers)
- 출간 포맷: EPUB
- 수익 구조: 판매 수익의 70% (정가 기준)
- 독자층: 20~40대 감성 독자, 소설·에세이 수요 높음
- 특징:
- 리디셀렉트(구독형 서비스)에 포함될 경우 정액 정산, 독립출판·자기출판 중심, 심사 기준은 비교적 유연, 표지 디자인 퀄리티 중요, 작가 소개 영역 존재
- 추천 대상:
- 브랜딩 목적의 감성 콘텐츠 작가, 소설, 에세이, 라이프스타일 중심 콘텐츠 보유자
② 교보문고 eBook 출판
- 출간 포맷: EPUB (PDF는 제한적 허용)
- 수익 구조: 약 60% (출판사 등록 시 기준)
- 독자층: 30대 이상, 실용서·경제·자기계발 수요 많음
- 특징:
- 교보문고 내 검색 및 구매 연동, 전국 오프라인 서점과 시너지, ISBN 발급 및 정식 출판 이력 등록 가능, 출간 절차는 다소 복잡하나 공신력 있음
- 추천 대상:
- ‘작가로서의 이력’을 공식화하고 싶은 분, 전자책을 유통망에 제대로 올리고 싶은 실용서 작가
③ YES24 전자책 출판
- 출간 포맷: EPUB
- 수익 구조: 약 60%
- 독자층: 다양한 연령대, 특히 실용서·학습서 이용자 많음
- 특징:
- 네이버·다음 등 포털 검색 결과에 노출되기 용이함, e캐시, 포인트, 이벤트 등 구매 유도 시스템 다양, 도서 리뷰 기반 노출 증가 가능
- 추천 대상:
- 검색 유입을 고려한 출간 전략을 세우는 분, 타 플랫폼과 병행 출간 시 유리
④ 부크크 (BOOKK)
- 출간 포맷: EPUB + POD (Print on Demand 종이책)
- 수익 구조: 약 45~70% (옵션 선택에 따라 다름)
- 독자층: 특정 독자층보다는 ‘작가가 독자를 직접 확보’하는 구조
- 특징:
- 종이책과 전자책 동시 출간 가능, 출간 기간 빠름 (제작 완료 후 수일 내 등록 가능), ISBN, 서점 유통망 연동 가능
- 추천 대상:
- 첫 출간을 빠르게 해보고 싶은 분, 종이책과 전자책을 동시에 실험하고 싶은 분
⑤ 크몽 (Kmong)
- 출간 포맷: PDF
- 수익 구조: 판매가에서 수수료(약 20%) 차감 후 정산
- 독자층: 실용서, 비즈니스, 자기계발 관심 있는 구매자층
- 특징:
- 가격 자유도 높고, 강의자료·템플릿 형태에 적합, 마케팅 없이도 자체 유입 있음, 고객 Q&A, 후기 등으로 신뢰도 축적 가능
- 추천 대상:
- 강의형, 템플릿형 콘텐츠를 PDF로 판매하려는 분, 단기간 수익화를 원하는 1인 창작자
출간 목적에 따른 플랫폼 추천 요약
목적 | 추천 플랫폼 |
감성 콘텐츠로 브랜딩 | 리디페이퍼스 |
공신력 있는 출간 이력 확보 | 교보문고 |
검색 유입 및 포털 노출 | YES24 |
빠른 출간 + 종이책 병행 | 부크크 |
실용서·PDF 강의자료 수익화 | 크몽 |
마무리 TIP: 플랫폼보다 중요한 것은 '전략'
전자책을 집필하고, 디자인을 생각하고, 어디에 올릴지 고민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그 플랫폼을 통해 어떤 독자에게 어떤 메시지를 전달할 것인지에 대한 전략입니다.
포맷은 독자의 경험을 좌우하고, 플랫폼은 유통을 결정합니다. 각각의 플랫폼의 특성을 제대로 이해하고 선택하는 것이 성공적인 전자책 출간의 첫 걸음입니다. 전자책을 쉽게 출간 할 수 있지만 그 뒤에 따라오는 결과는 부담을 가져오기도 합니다.
따라서 내가 현재 쓰고 있는 글의 방향성과 전자책 출간 플랫폼과의 궁합을 위해서는 각 플랫폼이 가지고 있는 장단점, 역활, 특성 등을 미리 파악하셨다가 이용하시면 성공적인 전자책을 출가하고 주변에 알릴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