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생활 속 도움의 블로그

협심증, 단순한 가슴 통증이 아닙니다 본문

생활정보

협심증, 단순한 가슴 통증이 아닙니다

ugmobuse 2025. 9. 23. 08:02

심장의 이상 신호 '협십증'

안녕하세요. 생활 속 도움의 블로거 우공 모부세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지난 시간에 이어 심장질환에 대한 이야길 더 해보겠습니다. 지난 시간에는 심근경색에 대해 이야기 하였는데, 오늘은 심근경색과 헷갈리기쉬운 '협심증'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가슴 통증을 경험하면 흔히 “소화가 안 돼서 그래” 혹은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서 그렇겠지” 하고 넘어갑니다. 하지만 반복적이고 특정 상황에서 나타나는 흉통은 심장 건강에 대한 중요한 경고 신호일 수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질환이 바로 협심증입니다.

 

협심증은 단순한 불편감을 넘어, 적절히 관리하지 않으면 심근경색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실제로 대한심장학회 자료에 따르면 국내에서도 심혈관질환 사망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협심증과 심근경색은 그 중심에 있습니다.

 

협심증과 심근경색, 무엇이 다른가요?

협심증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져서 혈류가 일시적으로 줄어드는 상태를 말합니다.

 

쉽게 예를 들자면, 도로가 부분적으로 막혀 차량이 잠시 정체되는 것과 같습니다. 혈액이 완전히 막히지는 않았지만, 심장 근육은 순간적으로 산소 부족을 겪게 됩니다.

 

반면, 심근경색은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혀 혈류 공급이 중단되면서 심장 근육 일부가 괴사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단순한 정체가 아니라 차량 통행이 전면 차단된 교통사고에 가깝습니다. 따라서 심근경색은 협심증보다 빠른 대응 조치가 필요합니다.

 

미국심장협회(AHA)는 협심증을 “심근경색의 전조 증상”으로 정의하며, 조기 발견과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즉, 협심증은 노란불, 심근경색은 빨간불로 비유할 수 있습니다. 노란불에서 멈추지 않으면 곧바로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협심증을 단순 흉통으로 오해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협심증과 심근경색, 무엇이 다른가요?
출처 : 참조은병원

 

협심증의 대표적 증상

협심증의 가장 전형적인 증상은 가슴 중앙부의 압박감이나 조이는 듯한 통증입니다. 하지만 그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다른 질환과 혼동하기 쉽습니다.

  • 가슴 중앙의 통증: 5분 이내로 지속되는 경우가 많음
  • 운동 시 악화, 휴식 시 완화: 계단을 오르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 때 통증 발생, 휴식 후 호전
  • 방사통: 통증이 어깨, 팔, 턱, 등으로 퍼짐
  • 비전형적 증상: 소화불량, 명치 통증, 호흡곤란, 피로감

세계보건기구(WHO)는 특히 여성, 노인, 당뇨 환자에서는 전형적인 흉통이 아닌 소화불량이나 호흡곤란 같은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본인이나 가족이 이런 증상을 반복적으로 겪는다면 협심증을 의심하고 가까운 병원에서 전문의 진단을 받으셔야 합니다.

 

협심증의 주요 위험 인자

협심증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 위험이 증가합니다.

  1. 고혈압 – 혈관 내벽 손상으로 협착 가속화
  2. 당뇨병 – 혈관 손상과 동맥경화를 촉진
  3. 고지혈증 – LDL 콜레스테롤이 혈관에 쌓여 협착 유발
  4. 흡연 – 혈관 수축, 혈소판 응집 촉진
  5. 비만과 운동 부족 – 대사증후군과 동반 위험 증가
  6. 가족력 – 부모, 형제 중 심혈관질환 이력이 있으면 위험도 증가
  7. 과도한 스트레스 – 교감신경 항진으로 혈관 수축

대한심장학회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위험 인자가 여러 개 중첩되면 협심증이 심근경색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두 배 이상 높아집니다. 따라서 생활습관 관리가 가장 중요한 1차 예방 수단입니다.

 

협심증의 종류

협심증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됩니다.

  • 안정형 협심증: 주로 운동이나 스트레스 상황에서 발생, 휴식 시 증상 호전
  • 불안정 협심증: 휴식 중에도 발생하며, 심근경색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음 → 응급 상황
  • 변이형 협심증(프린츠메탈 협심증): 주로 새벽이나 이른 아침에 발생, 혈관 경련이 원인

특히 불안정 협심증은 미국심장협회에서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S)”에 포함시켜 심근경색과 동일하게 응급 치료가 필요하다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협심증이 의심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협심증은 증상이 반복되거나 점점 빈도가 늘어난다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의사가 권하는 대표적인 검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심전도 검사: 전형적인 협심증 진단의 기본 도구
  • 심장 초음파: 심장 구조와 기능 확인
  • 운동부하 검사: 운동 중 심장의 반응 평가
  • 관상동맥 CT·혈관조영술: 협착 부위와 정도를 직접 확인

자가 진단이나 민간요법으로 시간을 끄는 것은 위험합니다. 미국심장학회도 협심증이 의심될 경우 응급실 내원 혹은 전문의 진료를 가장 먼저 권고합니다.

 

협심증 예방 및 관리법

협심증은 생활습관 관리와 정기 검진으로 상당 부분 예방이 가능합니다. 세계보건기구와 대한심장학회에서 권장하는 예방 수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식습관 개선: 포화지방 줄이고 채소, 과일, 생선 위주 식단 유지
  •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 하루 30분, 주 5회 이상 걷기, 자전거, 수영
  • 금연·절주: 흡연은 협심증의 가장 큰 위험 요인
  • 체중 관리: BMI 18.5~24.9 유지
  • 스트레스 관리: 명상, 규칙적 수면, 취미 활동
  • 정기검진: 40대 이상은 증상 없어도 1~2년마다 심장검진 권장

필요 시 약물 치료도 병행됩니다. 대표적으로 니트로글리세린, 베타차단제, 아스피린 등이 사용되는데, 이는 반드시 전문의 처방을 받아야 합니다.

 

결론 – 협심증은 심장의 경고등입니다

협심증은 단순한 통증이 아니라 심장이 보내는 위험 신호입니다. 이 신호를 무시하면 심근경색 같은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평소 위험 인자를 관리하고, 가슴 통증이 반복된다면 지체 없이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심장은 우리가 살아가는 데 있어 끊임없이 작동하는 엔진과 같습니다. 이 엔진이 보내는 작은 이상 신호에 귀 기울이는 것이야말로 건강한 삶을 지키는 첫걸음입니다.

 

지금부터라도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정기 검진을 받는다면 협심증은 충분히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참고 문헌

  • 대한심장학회. 협심증 및 관상동맥질환 진료 가이드라인 (2023)
  • 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 Angina (Chest Pain). 2022.
  •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Cardiovascular diseases (CVDs). 2023.